개념은 매우 간단하다. 실제 서버의 HDD를 가상머신용 디스크로 전환한 뒤, 젠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이다.
Citrix에서는 XenConvert라는 툴을 제공하고 있어 이런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.
XenConvert 역시 무료이다. 다만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서 다운받도록 되어 있다.
다운받았으면 이전할 PC(여기서는 서버)상에 XenConvert를 설치하고 실행한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1.png)
XenConvert를 실행하면 마주하는 첫 화면이다. From에 This Machine을, To에 XenServer를 선택한다. 혹 네트웍 속도가 느리거나 하여 XenServer로 바로 올리기 곤란하다면 다른 가상 디스크 형식을 선택해 우선 컨버팅 한 다음 나중에 XenCenter에서 Import 기능을 이용하면 된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2.png)
생성될 가상디스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곳이다. 필자는 300GB가량 되던 것을 너무 크다고 생각해 100GB대로 줄였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3.png)
업로드될 서버의 주소와 계정, 가상 디스크가 생성될 작업 공간을 지정한다. 필자는 D:에 temp라는 디렉터리를 만들고 그곳에 지정을 했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4.png)
생성될 VM의 이름이다. 바꾸어줘도 되고 그냥 두어도 무방하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5.png)
Convert를 누르면 작업이 진행된다. 이 동안 가급적 서버에서는 다른 작업을 하지 않는 편이 좋으리라 추측된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6.png)
XenConvert에서 가상디스크를 만들고 마운트하는지, 이런 메시지가 보인다. 무시하면 된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7.png)
간혹 이 때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. 그럴 때는 우측 하단의 Convert 버튼이 Log 버튼으로 바뀌므로, 당황하지 말고 천천히 로그를 읽어보면 된다. 아래는 필자의 경우인데, 잘 보면 서버의 기본 SR의 용량이 부족해서 업로드 할 수 없다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.
Source is D:\temp\WIN-EOOOOOOOOOO.ovf.
Destination is 211.00.00.000.
OVF to XenServer started at Sunday, April 18, 2010 18:55:05
Validating OVF Package...
FWD: Warning:2010.4.18.18.55.6,578: Disk linkage [File to RASD] does not exist: WIN-EOOOOOOOOOO.pvp
OVF Package is valid.
Importing OVF Package...
FWD: Debug:2010.4.18.18.55.9,78: OVF.FindSystemIds completed, 1 found
FWD: Debug:2010.4.18.18.55.9,187: OVF.FindRasdByType completed, 1 found
FWD: Debug:2010.4.18.18.55.9,203: OVF.FindRasdByType completed, 1 found
FWD: Debug:2010.4.18.18.55.9,421: Import.Process: DefineSystem completed (WIN-EOOOOOOOOOO)
FWD: Debug:2010.4.18.18.55.9,453: Import.SetIfDeviceIsBootable: Using HostResource to find Disk
FWD: Debug:2010.4.18.18.55.9,859: Found file WIN-EOOOOOOOOOO.vhd using VhdStream
FWD: Error:2010.4.18.18.55.10,93: OVF.UploadRawVDI: Target Storage Repository does not have enough free space. Need[190382604288] Free[60368617472]
FWD: Error:2010.4.18.18.55.10,93: Import.ImportFileProc::Exception OVF.UploadRawVDI: Target Storage Repository does not have enough free space. Need[190382604288] Free[60368617472]
FWD: Debug:2010.4.18.18.55.10,93: Import.AddResourceSettingData, recevied autoevent, continuing
FWD: Error:2010.4.18.18.55.10,93: Import.AddResourceSettingData, Failed on import, remove vm.
FWD: Debug:2010.4.18.18.55.10,93: Import.ImportFileProc (worker thread) completed
ImportFile failed
Failed to import the OVF Package.
OVF to XenServer stopped at Sunday, April 18, 2010 18:55:10
Physical to XenServer stopped at Sunday, April 18, 2010 18:55:10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9.png)
XenServer에서 스토리지의 문맥 메뉴를 열어 기본 SR을 변경할 수 있다. 그러나 이 때는 처음부터 다시 시도하기 보다 작업 공간(여기서는 d:\temp)에 기생성된 파일을 이용해 XenServer에서 import만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.
![](http://manalith.org/zbxe/files/attach/images//502/026/8.png)
모든 작업을 완료한 화면. 방금 작업한 WIN-E... 서버가 추가되어 있다. 이제 부팅해서 XenTools를 설치해 주고, 네트웍 설정까지 마치면 된다.